티스토리 뷰
목차
11월부터는 2025년도 연말정산을 미리 준비할 수 있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시작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빠르게 연말정산을 원하신다면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세청 홈택스를 활용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사용법과 절제방법까지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도 '13월의 월급'이라는 말을 실감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홈택스를 이용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 절차를 참고해 보세요.
- 홈택스 접속: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본인 인증: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을 통해 본인 인증을 완료합니다.
- 연말정산 미리보기 선택: 메뉴에서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 편리한 연말정산 →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클릭합니다.
- 공제 항목 확인: 신용카드, 기부금, 보험료 등 다양한 공제 항목을 미리 점검하고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환급 또는 추가 세액 확인: 미리 계산을 통해 올해 돌려받을 세금이나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액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절세 계획을 세워 보세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사용방법
1. 홈택스 회원은 공인인증서로, 비회원은 성명과 주민번호 입력 후 접속
1-1. 회원용 접근방법
1-2. 비회원 접근방법
연말정산을 쉽게 도와줄 유용한 앱 추천
연말정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몇 가지 앱을 소개해 드립니다.
- 홈택스 앱: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공식 앱으로 소득 및 공제 항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카드사 앱: 각 카드사에서도 연말정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니 활용해 보세요.
- 메타페이 앱: AI 챗봇을 통해 연말정산 절차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유용한 앱입니다.
2025년 연말정산 주요 변경사항
2025년도 연말정산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공제 항목의 변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절세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 신용카드 소득공제: 문화생활 관련 소비의 소득공제율이 기존 30%에서 40%로 상승했고, 전통시장에서 사용한 금액에 대한 공제율도 50%로 상향되었습니다.
- 장기주택 저당 차임금 이자상환 공제: 기존 한도가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대출 기간이 15년 이상인 경우 최대 2,000만 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에 한해 적용됩니다.
- 청약 종합저축 공제: 연간 한도가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조정되었으며, 월 납입금 역시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 자녀 세액감면 공제: 할아버지, 할머니, 손자, 손녀 등 가족 구성원에 대한 세액 감면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 다자녀 세액 공제: 자녀 세액 공제액이 첫째, 둘째, 셋째 각각 15만 원, 20만 원, 30만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절세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연말정산에서 최대한 절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세액 공제 항목으로는 의료비, 교육비, 월세액, 기부금 등이 있으며, 공제율이 높은 항목을 적극 활용하면 환급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 소득공제 팁: 신용카드 대신 공제율이 높은 현금영수증이나 전통시장에서의 소비 비중을 늘리는 것도 소득공제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2025년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활용법과 변경된 사항, 그리고 절세 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말정산을 잘 준비하면 '13월의 월급'이라는 기분 좋은 보너스를 받을 수 있으니, 올해는 미리미리 준비해 세금 부담을 줄여 보세요.